/ UNDERSTANDING PROGRAMMERS

안흔한 개발자 분류 (3) 주로하는 업무는 무엇? 개발하는 비율?

분류 3 - 주로 하는 업무에 따른 분류

아래와 같이 크게는 세 종류로 나눌 수 있어요. 개발하는 비율에 따른 분류죠.

  • 개발하는 개발자 (Developer / TechUser)
  • 개발도 하는 직장인
  • IT 관련된 일을 하지만, 개발은 하지 않는 직장인

(1) 개발하는 개발자 (Developer / TechUser)

  •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개발자
  • 인터넷 서비스 기업 (네이버, 카카오, 라인 등등)
  • (기획자/테스터/스텝/개발직군이 나뉘어 있는 회사)
  • 개발자 공채를 뽑는 곳 (아마도 대형 스타트업)
  • 프리랜서, SI

특징

  • 하루종일 개발한다. 오늘도 내일도 모레도 개발한다
  • 회사에서 하루에 1시간 이상 대화하지 않는다
  • 내가 직접 개발 일정을 계획한다
  • 노오력이 많이 필요하고 좀 외롭다

알맞는 성격 유형

  • 개발을 좋아하고 잘한다
  • 부지런하고 열정적이다 (야근이나 퇴근 후 학습도 ok)
  • 새로운 기술에 관심이 많다

이 길로 성공한다면

  • 실력있는 개발자, 기술 리더가 될 수 있다

(2) 개발도 하는 직장인 (1) - 개발+잡무

SI대기업, 스타트업, 중소기업

  • ​기획/개발/QA/스텝이 나뉘어 있지 않은 회사
  • 기타 업무가 많다
  • 전화업무, 회의, 문서작성, 메일작성, 출장, 인력관리, 인사 채용 등

특징

  • 커뮤니케이션 역량이 중요하다
  • 개발보다 다재다능한 역량이 더 인정받는 경우가 많다
  • 하나에 집중하기 어려워 전문성은 떨어질 수 있다
  • 고로 IT 역량은 스스로 길러야 한다

알맞는 성격 유형

  • 개발이 싫은 건 아닌데 엄청 노력할 자신은 없다
  • 이것저것 여러가지 일을 해보는 게 좋다
  • 커뮤니케이션을 잘한다 (괜찮다)

이 길에서 성공한다면

  • 잘 나가는 회사원.
  • 실력있는 관리자가 될 수 있다

(3) 개발도 하는 직장인 (2) - 유지보수, 지원업무

​반복적이고 메뉴얼화 되어있는 업무를 수행한다

시스템 운영(SM), 시스템 엔지니어(SE, 인프라)​, ​기술 지원 업무

특징

  • 워라밸이 좋고, 한 곳에서 오랫동안 일할 수도 있다
  • 입사 초기에 배울 것이 많으나, 연차가 쌓일수록 일이 편해진다
  • 개발이 필요한 경우도 있으나 유지보수 수준이다
  • 개인의 성장은 기대하기 어렵고, 반복적인 업무가 많아 지루할 수 있다
  • 특화된 도메인을 선택하는게 유리하다 - 제조/통신/금융, 인프라

알맞는 성격 유형

  • 내 꿈은 공무원. 무리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일하는게 좋다
  • 반복적이고 메뉴얼화 되어있는 일을 하는게 좋다
  • 일에서의 성공보다 내 삶과 가정이 더 중요하다

이 길에서 성공한다면

  • 도메인 전문가가 될 수 있으며
  • 가정과 개인의 삶에 충실할 수 있다

개발을 하진 않고 IT와 관련된 일을 담당한다 (비개발직군)

(4) IT와 관련된 일을 하는 직장인

개발 경험이 있어야 하는

  • DBA
  • IT 컨설턴트

개발을 알면 좋지만 몰라도 할 수 있는 ​​- 기술 영업 (솔루션, 외국계에 많은 직무)

  • 데이터 분석가
  • IT 서비스 기획자
  • QA(품질보증, 버그 및 오류 테스팅)
개발 일보다 이러한 일들이 더 잘 맞는다면, 업종 전환이 가능하다

개발자 분류 정리해보자!

분류 기준 분류
개발 분야 웹 백엔드 개발자
웹 프론트엔드 개발자
모바일 앱 개발자
기타(시스템 프로그래머, 모바일 게임 개발자, 게임 서버 및 게임 클라이언트 개발자)
비개발자 직군(DBA, 시스템 엔지니어, 빅데이터 전문가)
일하는 스타일 스피드 타입, 아이디어 타입
철학자 타입, 땡땡이 타입
마감철저 타입, 깔끔이 타입
근성 타입
주요 업무(개발하는 비율) 개발만 하는 개발자 (developer, tech user)
개발도 하는 직장인(개발+잡무, 유지보수, 지원업무)
IT와 관련된 일을 하는 직장인